연수 후기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검색어 필수 2021 대한민국종이문화예술작품공모대전위… 3월 18일(목) 오전 11시 종이나라박물관 회의실에서 대한민국종이문화예술작품공모대전위원회 김종규 대전위원장(문화유산국민신탁 이사장), 한금자 위원(종이나라박물관 명예관장), 서원선 위원(세계종이접기창작개발원장), 노영혜 위원(종이문화재단 이사장), 정재원 위원(종이나라박물관 수석부관장), 김영일 위원(종이문화재단 사무국장)이 참가, 김영애 종이나라박물관 학예실장의 사회로 2021 대한민국종이문화예술작품공모대전위원회 회의를 가졌다. 본 공모대전이 성공적으로 치루기 위한 주제, 분야, 심사위원 위촉 등 다양한 안건을 발의하여 가결하였으며, 팬데믹 시대에 세대 화합과 소통을 위한 비대면 K종이접기와 종이문화예술을 활성화 방안 등 김종규 위원장의 지도편달이 있었다. 글쓴이: 최고관리자 2021-03-19 최현사 회장, 종이나라박물관에 「훈민정음… 지난 02월 25일 종이나라박물관(관장 노영혜)은 최현사 회장으로 부터 귀한 「훈민정음 영인본」을 기증받았다. 한지보존회 최현사 회장은 전통문화의 가치를 계승하여 문화재산을 보존하고 우리 문화재를 알리기 위해 조선왕조실록 의궤 오대산 사고본, 서울 동관왕묘 구룡도 모사도, 규장각 문화재 보존 수리 등 문화재 원형, 현상 복제 등의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전통한지 보존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다양한 활동을 펼쳐 나가고 있다.최현사 한지 보존회 회장(사진 左) 훈민정음(영인본 글쓴이: 최고관리자 2021-03-12 2020 대한민국 종이문화예술작품 공모대… 종이문화재단 공식유튜브 "조이TV"를 통하여2020 대한민국 종이문화예술작품 공모대전 시상식 및 화상전시를 확인해 보세요.시상식 및 화상전시 : https://youtu.be/W3AsiYakZ_c 글쓴이: 최고관리자 2021-02-05 이영걸 대한민국 닥종이명인 『안동한지 5… 2021년 2월 이영걸 안동한지 회장은 우리 안동한지 창립한 지 반세기를 넘어 지난 50여 년 동안 피와 땀과 눈물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한 나날들을 정리하며 『안동한지 50년사』를 발간했다. 발간 기념사에서 “시대적으로 서양 종이에 밀리고 우리 문종이가 빛이 바래지만 그동안 우리 문화를 소중히 여기고 한지의 아름다움에 취해 그간의 이룩한 성장 과정과 애환을 회상하여 정리하였으나 이를 기회로 안동한지가 더욱 힘을 내어 열심히 연구하여 우리 것이 세계 속의 한지로 거듭나서 앞으로 백년사의 밑거름이 되도록 더욱 정진하고 노력하겠다.” 고 말했다. 이영걸 회장은 2015년 11월 11일 종이문화의 날(PEACE DAY) 기념식에서 ‘대한민국 닥종이 명인’ 1호를 수상했다.「대한민국 닥종이 명인1호 수상」『안동한지 50년사』 노영혜 이사장은 안동한지 공장을 방문하여 이영걸 회장의 『안동한지 50년사』 발간을 축하하며 안동한지 대를 이어 경영하고 있는 이병섭 사장의 석사학위(충북대학교 대학원 문화재과학과 문화재과학전공) 『닥나무 인피섬유 채취 부위가 제조된 한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논문집 발행도 함께 축하했다. 글쓴이: 최고관리자 2021-01-27 정명숙, 한국종이문화총연합회 신임 총연합… 2019~2020년 2년간 종이문화 등 분야별 발전을 위해 적극 이바지 해온 박경자 총연합회장(한국포장아트협회 회장)의 후임으로, 정명숙 회장(한국사회복지문화개발협회)이 신임 총연합회장으로 12월 24일(목) 16시에 임명되었다.정명숙 총연합회장은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에도 종이문화발전을 위해 열정을 다해 힘써주신 박경자 전 총연합회장님과 분야별 회장님께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글쓴이: 최고관리자 2020-12-28 신탁근 고문 · 김형진 교수 종이나라박물… 신탁근 온양민속박물관 상임고문(사진 左), 김형진 국민대학교 교수(사진 右) 종이나라박물관에 유물 및 자료 기증, 2020년 12월 22일 지난 22일 종이나라박물관(관장 노영혜)은 신탁근 상임고문과 김형진 교수로 부터 우리나라 종이문화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유물과 자료를 기증받았다. 신탁근 온양민속박물관 상임고문은 ‘장판지(壯版紙)’ 1점(4장)을 기증하였다. 1900年代로 추정되는 이 장판지는 선친으로부터 물려받은 귀중한 유물이다.장판지는 두꺼운 한지에 불린 콩을 갈아 들기름과 섞어 문지르는 콩댐을 하여 바르고 말리고를 반복하여 방수, 방염 등 내구성을 높여 활용한 우리 선조의 지혜와 종이문화가 고스란히 담겨있어 가치가 매우 높다. 김형진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교수의 기증품은 한지대전 「한지」이다.한지 연구와 보존에 힘을 쏟고 있는 김형진 교수는 전국의 한지업체 25곳의 한지 309종을 모아 우리나라 전통 한지의 원료, 제조과정, 특성 등 생산 정보 기록을 집대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한지대전 「한지」을 출판하였다. 우리나라 K종이접기와 종이문화예술을 국내·외에 알리고 있는 종이나라박물관에 기증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에 기증된 유물과 자료는 기획전시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다. 글쓴이: 최고관리자 2020-12-23 처음 이전 열린41페이지 42페이지 43페이지 44페이지 45페이지 다음 맨끝